등산의학 / 고소증의 예방과 치료

자유게시판

홈 > 지역모임/동호회 > 망월산악회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등산의학 / 고소증의 예방과 치료

2,850 박선화(48) 2010.07.13 13:56

등산의학 / 고소증의 예방과 치료 <상>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가 좋아…낮잠 자면 증상 더 악화돼

높은 산정에서 멋진 광경을 즐기며 자연을 사랑하는 산악인들을 삶의 벗으로 생각하는 필자는 높은 산에 들어가려 계획하는 분, 특히 아마추어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이 글을 쓴다.


우리는 거의 모두 해발 900m 아래에서 살고 있다.

우리가 열심히 오르내리는 국내의 산은 높이가 2,000m 이하이기에 힘이 날 때는 무릎관절 다치는 줄 모르고 다람쥐처럼 신나게 뛰어다녀도 아무런 이상 증상이 없는 그러한 산들이다.

그래서 오르기 경쟁이라도 하듯 빨리 오르려하고, 또 빨리 오르는 것이 자랑인 듯 여기는 것 같다.


고소라는 것 자체가 생소하고 고소병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경험이 없으니 전혀 감이 잡히지 않는 것이 우리의 실정이다.


높은 산에 오르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의 빨리 오르기 위주의 산행방식에 대해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

그리고 몸의 변화와 고소병에 대한 과학적인 대처법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되어 필자의 경험과 함께 몇 가지 지식과 정보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과학의 흐름은 정지상태가 아니므로 더 최신의 정보가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고소병은 예방되어야 한다.


설악산, 지리산, 한라산, 백두산, 황산, 일본의 남알프스, 북알프스, 후지산, 옥산, 요세미티의 하프돔, 키나발루산을 어려움 없이 올랐던 필자는 1998년 여름 킬리만자로(5,895m) 트레킹에서 등정 실패의 경험을 하게 되었다.


 길만스포인트(5,685m)를 바로 앞에 두고 5,300m 지점에서 심한 두통과 졸음으로 돌아서야만 했다.


산행을 계획한 이후로 황규광씨가 월간山 1998년 2월호(104-108쪽), 4월호(236-240쪽), 5월호(154-157쪽)에 게재한 아마추어 고소순응법(고산에 가려는 분은 꼭 읽어보길 권한다)을 외울 정도로 읽고 갔음에도 결과는 그리되었다.


실패의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반성해보았다.


여행 중 감염에 의한 심한 설사, 음주,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지 못함, 빠른 걸음, 호롬보산장(3,780m)에서 찬물에 샤워하고 몹시 추워함, 고소적응의 시간 없이 짜여진 무리한 강행군, 행동식 부족, 자외선 차단 미흡, 립스틱 바르지 않아 입술 터짐, 보온장구 미비, 끝내 탈수상태에 빠짐 등등 여러 원인이 연속되었다.


이중 한두 가지만으로도 고산병에 걸릴 충분한 이유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실패는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재도전의 다짐을 하게 되었다.


2002년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5,364m), 칼라파타르(5,545m) 트레킹 때는 지난 실패의 원인들을 모두 없애는 한편 시험적으로 다이아목스를 1일 1알씩(250mg) 복용하였는데, 거의 불편 없이 양쪽을 다 오를 수 있었다.


이때 다이아목스의 효과를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2003년 킬리만자로를 다시 오를 때는 호롬보산장에서 2박 하며 하루의 고소적응 시간을 가졌고, 12명 일행 전원이 다이아목스를 복용하였으며, 덕택에 모두 정상에 오를 수 있었다(월간山 2003년 5월호에 기사 게재).


물론 날씨가 좋았으며 경험 많은 가이드가 엄격하게 통솔하며 천천히 오르도록 했고, 또한 일행의 협동심도 높았다.


옥시미터(Oxymeter)로 혈중 산소농도를 측정하면서 걸음의 속도를 조절한 일행도 있었는데, 역시 과학적인 산행은 필요하고 또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필자가 경험한 다이아목스와 고산병에 관한 전반적인 문헌 보고를 요약하면서 부족하나마 트레커와 고소병에 관여하는 의사들이 참고로 활용하기를 바란다.


고소(high altitude·HA)의 정의


표고 2,438-3,658m(8,000-12,000ft)를 고소(HA)라 하며, 3,658-5,487m(12,000-18,000ft)를 초고소(very HA), 5,487m(18,000ft) 이상을 극고소(extremely HA)라 정의한다.


고소병(high-altitude illness, HAI)

국내에는 고소에 해당하는 산이 없으므로 고소산행 경험이 없고, 따라서 처음으로 고소에 오를 경우에는 누가 고소병에 걸렸는지 알기 힘들 뿐만 아니라 본인이 고소병에 이환된 것조차도 모르기 쉽다.


어떤 사람은 고소병이 생기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으며,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더 감수성이 높다.


대부분의 사람은 별 불편 없이 2,438m(8000ft)까지 오를 수 있으며, 그 높이에서 적당히 고소적응이 되었다면 그 높이에 다시 갈 수 있다.


고소병이란 고소에 오른 지 얼마 안 되어 고소에 적응되지 않은 사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뇌증후군과 폐증후군을 말한다.


고소병 중 급성고산병(acute mountain sickness·AMS)과 고소뇌부종(high-altitude cerebral edema·HACE)은 뇌질환에 속하며, 고소폐부종(high-altitude pulmonary edema·HAPE)은 폐질환에 속한다.


고소폐부종과 고소뇌부종은 흔하지는 않지만 발생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고소병의 발생빈도


고소병의 발생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올랐는지, 얼마나 높이 올랐는지, 어느 높이에서 숙박했는지와 개개인의 예민성, 생리조건, 체질, 질병 등에 의해 결정된다.


콜로라도 로키산맥의 1,920~2,956m(6,300~9,700ft)에 위치한 리조트에서 16세에서 87세까지의 3,15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보고에 의하면, 여행객의 25%에서 급성고산병(AMS)이 발생했으며, 그 중 65%는 도착한 지 12시간 내에 나타났고, 56%는 육체적 활동이 감소되는 증상이 있었다.


해발 900m 이하에서 사는 사람은 그 이상에서 사는 사람보다 급성고산병이 3.5배 더 많이 발생했고, 전에 급성고산병을 경험했던 사람에서 2.8배 더 많이 발생했으며, 60세 이상보다 60세 미만에서 2배 더 많이 발생했다.


여자, 비만인, 육체적 조건이 안 좋은 사람, 폐질환 환자에서 더 많이 발생했다.


다른 보고에서 급성고산병의 발생빈도는 2,130~2,743m(7,000~9,000ft)의 높이에서 22%, 3,000m(10,000ft)의 높이에서 42%였다.

자동차로 2시간에 4,348m의 높이에 올랐을 때 8시간 후에 46%에서 급성고산병이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고소병의 위험인자


과거에 고소병으로 고생한 경험이 있는 경우, 해발 900m 아래에 거주하는 경우, 지쳤을 경우, 전부터 심폐질환이 있는 경우 등이 고소병의 위험인자들이다.


50세가 넘는 사람들은 젊은 사람들 보다 급성고산병에 덜 걸린다.


한 보고는 59~83세의 남녀 97명을 2,500m 고도에서 5일 이상 관찰한 결과 젊은 사람들보다 적은 16%에서 급성고산병이 발생했다고 했다.


소아에서 급성고산병의 발생률은 성인과 같다.


한 연구보고는 3,488m의 고도에서 3~36개월의 아이들 23명과 성인 45명에서 급성고산병의 발생빈도는 21.7%와 20%로 비슷하다고 보고했고, 급성고산병에 대한 예민도에 가족성 성향은 없다고 했다.


여자에서 급성고산병의 발생률은 남자와 같지만, 고소폐부종은 남자보다 적게 발생한다.


또한 2,500m 고도에서는 급성고산병의 발생에 동맥산소, 동맥혈 산소포화도, 폐활량, 혈압, 당뇨병, 임신은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97명 중 20%에서 관상동맥질환, 34%에서 고혈압, 9%에서 폐질환의 만성질환이 있었으나 이들 중 아무런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고소병의 원인


고소병 발생의 원인은 한 마디로 말하면 산소부족이라 할 수 있으며, 고소병은 산소부족에 신체가 적응하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해수면에서 공기 중 산소농도는 21%에 기압은 760mmHg이다.


높은 곳에서는 농도는 같으나 호흡당 산소분자의 수는 감소한다.


3,658m(12,000ft)에서 기압은 483mmHg이며, 따라서 호흡당 산소분자는 약 40% 더 적다.


신체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안정상태에서도 호흡횟수가 증가해야 한다.


증가된 호흡이 혈중 산소농도는 증가시키지만 해수면에서의 농도까지는 이르지 못한다.


운동이 요구되는 산소량은 같기 때문에 몸은 저산소에 적응해야 하며, 이는 시간이 걸린다.


게다가 많은 이유로 인해 고소 및 낮은 기압은 모세혈관으로부터 수액의 누출이 일어나고, 폐와 뇌에 물이 차서 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이 안 된 상태에서 더 높은 곳을 오른다면 생명이 위험해지거나 상당히 심한 후유증을 가져 올 수 있다.


고소적응(Acclimatization)


너무 높은 곳을 너무 빨리 오르는 것이 고소병의 주 원인이다. 특정한 고도에서 어느 기간 시간이 지나면 신체는 산소분자의 감소에 적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새로운 환경적응이라고 하며, 그 고도에서 일반적으로 1~3일 걸린다. 예를 들어 3,048m(10,000ft)에 오르고 그 곳에서 며칠을 보낸다면 신체는 3,048m에 적응한다. 만일 3,658m(12,000ft)에 오른다면 신체는 시간을 갖고 다시 한번 적응해야 한다.


감소된 산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변화가 신체에서 일어난다.

호흡의 깊이 증가, 폐동맥압의 증가(해수면에서 호흡 동안 사용되지 않던 폐에까지 혈액이 공급되도록), 산소운반 적혈구의 생산증가, 특수 촉진효소의 생산증가, 혈색소로부터 신체조직에 산소방출 등이다.


고소병의 예방

고소병의 예방은 충분한 고소적응과 약물사용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고소적응을 위한 기본 안내

·가능하면 고소까지 비행기나 자동차로 오르지 않으며, 3,048m(10,000ft) 아래에서부터 걸어서 오른다.

 만일 비행이나 운전해서 왔다면 만 하루 동안 더 높은 곳으로 오르지 말아야 한다.


·3,048m(10,000ft) 이상 더 높이 오른다면 하루에 305m(1,000ft) 높이만 오르며, 매 915m(3,000ft) 오를 때마다 하루를 휴식한다.


·높이 오르고 낮은 곳에서 자라(등산가들의 격언이다).

 다시 내려와 낮은 곳에서 자기만 한다면 하루에 305m(1,000ft) 이상 오를 수 있다.


·중등도 고소병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증상이 감소될 때까지 더 높이 오르지 말아야 한다.

 만일 증상들이 심해지면 무조건 미련 없이 내려가야 한다.


·고소적응에 걸리는 시간은 사람마다 다르므로 자신의 적응에 대하여 확실히 알아둔다.


·기후와 운동량에 알맞게 수분을 섭취하여 탈수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소변량이 충분하고 맑도록 하루에 3~4리터의 물을 마시도록 한다.


·고소에 처음 오를 때는 급하게 서두르지 말고 무리하지 말아야 한다.

 낮에는 잠자는 것보다는 가벼운 활동이 더 좋다.

 왜냐하면 자는 동안 호흡이 약해져 증상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흡연, 음주를 피하고 바비탈, 신경안정제, 수면제 등의 진정제(근육이완제)를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진정제는 수면 중 호흡운동을 감소시켜서 증상을 악화시킨다.


·고소에 머무는 동안 탄수화물이 전체 칼로리의 70% 이상이 되도록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를 하도록 한다.

 곧바로 에너지를 쓸 수 있는 초콜릿, 사탕, 바나나, 고포도당 음식을 자주 먹는다.

 육류는 근육의 젖산량을 증가시켜 근육을 쉽게 피곤하게 하므로 적게 먹는다.


·탈수, 과한 운동, 음주, 진정제 복용 등은 고소에서의 적응과정을 억제하므로 피하도록 한다.


예방약물

하루에 표고 3,000m 이상을 오를 사람과 급성고산병의 병력이 있는 사람은 예방약의 사용이 필요하다.

아세타졸라마이드(Acetazolamide=Diamox)가 더 좋은 약이며,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은 그 다음이다.

둘 다 효과적이며 하나씩 사용하는 것보다 둘 다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아스피린 복용(325mg을 4시간마다 1일 3회)은 두통의 발생빈도를 7~50% 감소시킨다.


·다이아목스(Diamox=Acetazolamide) : 다이아목스는 호흡을 더 빠르게 할 수 있게 허용하며 더 많은 산소를 대사하도록 해서 조직의 산소부족으로 인한 증상들을 최소화한다.

특히 주기성 호흡('급성고산병의 증상' 참조)을 감소시키고, 야간의 신체 산소화를 개선시키므로 호흡운동이 감소되는 밤에 도움이 된다.


다이아목스의 효과가 나타나는 데는 시간이 걸리므로 오르기 전 24~48시간 전에 복용하기 시작한다.

고소에서는 최소 이틀간(48시간) 복용하며, 증상에 따라 더 오랫동안 사용한다.


히말라야구조협회 의료진료실의 다이아목스 권고용량은 125mg을 아침과 저녁에 복용하는 것이다.

이렇듯 1일 표준 용량은 250mg이지만, 더 낮은 용량을 사용한 사람들 대부분에서 별 차이가 없었다.


다이아목스를 복용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입술과 손가락 끝의 짜릿짜릿 저림, 시야의 흐려짐, 입맛의 변함 등이다.

이들 부작용은 투여량을 절반으로(1일 125mg) 줄이면 대개 감소되며, 투약을 중지하면 없어진다.

약은 의사와 상담 후 처방을 받아야 한다.


다이아목스는 설파제 계통의 약이므로 설파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알레르기 병력이 없는 사람에게 알레르기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여행 전에 이 약을 시험적으로 사용해 보는 것도 좋다.

이 약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급성고산병의 치료'에서 언급하고자 한다.


·덱사메타손(dexamethasone·합성부신피질 스테로이드·Decadron) : 덱사메타손은 부신피질 호르몬제이며 뇌 및 다른 장기의 부종을 감소시켜 급성고산병의 영향을 개선시키는 약이다.

오르기 시작할 때 복용하기 시작하며 4mg을 1일 2회 수일간 복용한다.


이 약은 과민증이 있는 사람, 생백신 예방접종 받은 사람, 단순포진 환자, 수두환자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부작용으로는 혈관통, 부종, 자반, 소양감, 오심, 구토, 두통, 불면증, 국소조직의 함몰, 얼굴-목뒤-배의 살찜, 혈전성 정맥염, 다모증, 다행증, 근육통, 관절통, 월경이상, 발열, 당뇨, 소화성궤양, 진전, 만성췌장, 혈압상승, 녹내장, 발육억제 등이 있으며, 녹내장, 결핵, 혈전증, 심근경색증, 소화성궤양, 정신병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해야 하며, 이 약 투여 중에는 수두나 기타 예방 접종을 해서는 안 된다.

▼ 5ℓ마시면 살고 3ℓ마시면 죽는다. 틈만 나면 따뜻한 물을 마셔라.


▼ 고소증을 이기려면 많이 먹는 것이 최고다. 살아남으려면 먹어야 한다. 무조건 먹어라.


▼ 머리 감지 말고, 세수도 하지 마라. 몸의 온도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고소에서 머리가 젖으면 바로 감기에 걸린다. 고소에서 감기에 걸리면 치명적이다.


▼ 남체에서부터는 절대로 뛰지 마라. 의식적으로 천천히 걸어라


/ 이재승 (연세의료원 소아과 과장·대한신장학회 회장)

댓글